🌍 2025년 5월, 글로벌 정책 흐름이 우리에게 말해주는 것

2025. 5. 11. 17:41글로벌 insight

지구 반대편에서 일어난 정책 변화가 우리 삶에 어떤 영향을 줄 수 있을까요?

2025년 5월, 주요 국가들의 정책 흐름은 단순한 외신 기사를 넘어,

세계 경제와 기후, 기술 질서에 직간접적인 파급 효과를 주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미국, 유럽연합, 중국 등 주요국이 주도하는 글로벌 정책의 흐름을 따라가 보며,

그 핵심 이슈를 정리해보았습니다.


🧭 1. 미-EU 간 반독점 정책 충돌

최근 미국 연방거래위원회(FTC)와 유럽연합(EU) 간의 반독점 관련 협력이 긴장 국면에 들어섰습니다. 유럽의 디지털 시장법(DMA)이 글로벌 빅테크 기업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면서, 미국 측에서는 경쟁력 저하를 우려하며 공개적인 반감을 표출했습니다. 이는 단순한 정책 차이를 넘어서, 글로벌 기술 산업의 경쟁 규칙이 지역별로 분화되고 있다는 신호입니다.

출처: Financial Times, 2025.05.10
Transatlantic antitrust ties fray


☀️ 2. 기후 정책의 실용주의적 전환

이달 들어 기업과 정부의 기후 전략에 변화가 감지되고 있습니다. 이전까지는 ‘순배출 제로(Net-Zero)’라는 선언적 목표가 강조됐다면, 이제는 실제적 기후 리스크 대응—예를 들어 물 부족, 공급망 취약성 등—에 초점을 맞추는 실용주의적 흐름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특히 에너지·운송 업계를 중심으로 '기후 회복력'이라는 키워드가 부각되고 있습니다.

출처: TIME, 2025.05.08
How Business and Finance Are Really Talking About Climate Change


⚖️ 3. AI 안전성, 새로운 글로벌 협력

싱가포르는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중립국으로서 AI 안전성 협력 이니셔티브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이는 기술 패권 경쟁 속에서도 글로벌 거버넌스의 틀을 만들려는 움직임으로, 특히 ‘생성형 AI’의 확산에 따라 신뢰할 수 있는 규제 프레임워크 필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출처: Wired, 2025.05.07
Singapore’s AI Diplomacy Gains Traction


💸 4. 글로벌 법인세 정책의 불확실성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재출마 선언과 함께, 미국이 글로벌 최저 법인세율(Global Minimum Corporate Tax) 협정에서 이탈할 가능성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이는 OECD 주도의 글로벌 조세 협력에 큰 영향을 미치며, 각국의 기업 유치 전략에도 변화를 일으킬 것으로 예상됩니다.

출처: Wikipedia, 2025
Global minimum corporate tax rate


⚠️ 5. 남아시아의 긴장 고조 – 인도·파키스탄 국경 충돌

이달 초, 인도와 파키스탄 양국 간의 카슈미르 지역 국경 충돌이 다시 발생하면서 국제사회의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이번 충돌은 양국의 군사적 대응 수준은 제한적이었지만, 지정학적 리스크가 국제 정책 환경에 얼마나 빠르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다시금 확인시켜주었습니다.

특히 인도는 글로벌 반도체 및 IT 생산망에서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고, 파키스탄은 중국과의 전략적 협력을 강화하면서 ‘신(新)지정학 구도’의 주요 변수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갈등은 에너지 수송로 안정성, 국제 외교 전략, 군비 확장 정책 등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국제 안보 정책의 우선순위 재조정을 유도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다행히 현재까지는 국제사회가 사태 확산을 억제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지만, 향후 미국·중국 등 주요국의 개입 여부유엔 차원의 조정 노력에 따라 관련 정책 흐름은 가시적으로 드러날 수 있습니다.

출처: The Guardian, Al Jazeera, 2025.05.08~09 보도 내용 종합
(https://www.theguardian.com/world/2025/may/08/india-pakistan-border-tensions)


📌 참고자료


✍️ 지금 우리가 주목해야 할 흐름

이번 5월, 세계는 새로운 질서와 방향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비록 먼 나라 이야기처럼 느껴질 수 있지만, 이러한 글로벌 정책 흐름은 곧

국내 기업의 수출입 전략, 기술 도입 정책, 에너지 가격에까지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이러한 국제적 흐름을 빠르게 읽고 이해하는 것은, 더 나은 선택과 판단을 위한 시작이 될 수 있습니다.

앞으로도 kim's insight에서는 국내외 정책 동향을 쉽고 실용적인 시선으로 풀어드리겠습니다.

반응형